♻️ 화장품 용기 재활용, 어디까지 준비됐나요? (상)

재활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 이렇게 고르세요

화장품 용기 재활용_표기

화장품 상품기획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매력적인 제형과 효능을 구현하는 것만큼이나, 우리 손에서 탄생하는 상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폐기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시대입니다. 특히, K-뷰티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환경적 책임까지 고려한 상품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예쁜 쓰레기"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동시에 지구에도 친절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여정에 이 글이 든든한 동반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화장품 용기 재활용, 특히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 선택부터 관련 규제 준수, 그리고 혁신적인 지속 가능 패키징 솔루션까지, 상품기획자 여러분이 현장에서 마주하는 실질적인 고민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복잡한 플라스틱의 세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최신 규제 동향을 파악하며, 미래 지향적인 패키징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핵심 정보를 담았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개발하시는 상품이 K-뷰티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자랑스러운 결과물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최적의 용기 설계를 위한 첫걸음: 플라스틱 재질 특성 완전 분석

플라스틱 재질


화장품 용기 개발의 시작은 제품의 특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면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플라스틱은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 덕분에 널리 사용되지만, 그 종류와 특성은 천차만별이며 이는 곧 재활용 용이성과도 직결됩니다. 용기 후면이나 바닥의 분리배출 표시와 재질명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개발 단계에서부터 고려해야 할 중요한 환경적 지표입니다.



핵심 플라스틱 3인방: PET, PP, PE의 전략적 활용


화장품 상품기획자 여러분이 가장 빈번하게 접하고 활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은 PET, PP, PE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세가지 재질은 화장품 내용물에 비교적 안전한 화학적 안정성을 갖고 있는 재질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 세가지 재질의 특성과 생산 방식, 장단점, 주의할 점 등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PET/PETE ( Polyethylene Terephthalate)

투명성과 안정성을 겸비한 선택

PET/PETE

PET 용기 이미지

  • 특징 및 활용
  • 뛰어난 투명성으로 내용물의 시각적 매력을 극대화하며, 우수한 내화학성과 가벼움으로 스킨, 토너, 에센스, 세럼 및 일부 투명 샴푸 용기 등에 이상적입니다. 상대적으로 충격에도 강해 유통 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합니다.


  • 재활용성 증진을 위한 설계
  • PET 자체는 재활용 가치가 높지만, 유색, 특히 어둡거나 불투명한 PET는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가능한 한 무색 투명 PET를 사용하고, 라벨은 재활용 공정에서 쉽게 분리되는 수분리성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몸체에 직접 인쇄하는 경우 재활용에 방해가 되지 않는 잉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료수 병의 유색 페트병이나 라벨 분리가 어려운 페트병을 사용금지 대상으로 선정하고 있는 만큼, 화장품 용기 재활용을 위해 설계 단계부터 이러한 원칙을 참고해야 합니다.
  • 원칙적으로는 무색, 무인쇄 페트병만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옵셋인쇄된 PET 라벨을 부착한다면, 같은 페트 재질로써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인젝션블로우

INJECTION BLOW 설비

  • 인젝션 브로우
  • 주로 인젝션 브로우에 사용되는 재질로 열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성질을 이용해 프리폼 사출에 적합합니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병(일명 페트병)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화장품에서는 해비브로우 방식으로 벽두께를 두껍게 사출한 용기를 많이 사용합니다. 페트의 재활용 우수성과 저렴한 가격, 그리고 유리처럼 투명한 외관 덕분에 유리용기 대안으로 사용되는 추세입니다.


PETG

PETG 오버캡 예시

  • 오버캡
  • 펌프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캡의 재질로 많이 사용됩니다. 페트의 유연성과 투명성 때문에 오버캡으로 성형하기에 좋고 언더컷(딸깍 조립을 위한 구조)을 넣기에도 좋아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페트의 재질 특성상 사출게이트 부분에 흐름 자국이나 달무리 현상이 많이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 단점
  • 코팅 제한 : 일반 브로우의 두께가 얇은 용기는 코팅을 하게 되면 모서리 충격으로 쉽게 깨질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코팅을 하고자 한다면 살두께가 조금 있는 페트 용기에 해야 합니다. 또한 메탈 파우더가 포함된 코팅을 하면 페트 표면과 코팅액 사이의 결정 분산으로 메탈 파우더가 갈라지는 듯한 현상이 생길 수 있어서 페트 용기에는 메탈 코팅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스크래치에 취약 : 스크래치가 쉽게 나는 재질로 투명 용기가 서로 살짝 스치기만해도 눈에 보이는 스크래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용기 생산시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포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PET의 변형재질 : PET도 다양한 변형 재질이 존재합니다. 각각의 특성과 성형 방식, 장단점을 이해하면 제품의 물성에 맞는 최적의 선택이 가능해 집니다.
  • OPET (Oriented PET) : 인젝션블로우에 사용되는 페트 재질로 2단계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에서 이축 연신되어 내구성, 투명도, 차단성이 향상된 재질입니다. 따라서 민감한 내용물 보호가 필요한 제품에 적합하며, 고급 스킨케어 용기에 주로 사용됩니다.
  • EPET (Extrusion PET): 분자량이 높아 패리슨 압출이 가능한 등급의 PET로, 손잡이가 필요한 용기(예: 주스 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재질입니다.
  •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T의 비정질 변형으로, 프리폼 사출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신, 압출, 사출 블로우 성형, 1단계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이 가능하며, 3D 프린팅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투명도와 내화학성은 PET와 유사하나, 내충격성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ETG는 PET의 단점을 보완해 화장품 사출 용기에 사용하는 재질로 보시면 됩니다.
  • PCTG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Glycol-modified): PETG와 유사한 PET의 비정질 형태로써 배향될 수 없는 재질입니다. 우수한 내충격성과 투명도로 높은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제품 및 화장품 포장 부품에 사용됩니다. PETG보다 강도가 높아 충격에는 강하나 내부 압력 스트레스에는 약하여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오버캡에 사용시 크랙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PP ( Polypropylene )

기능성과 범용성을 갖춘 화장품 용기 재활용을 위한 대표 재질

PP 스프레이 건

PP 재질 예시 - 스프레이 건 외측 부분

  • 활용
  • 크림이나 밤을 담는 단지(jar)형 용기, 다양한 형태의 뚜껑 및 캡, 일부 에어리스 펌프 부품, 튜브 용기 등 활용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플라스틱 원료 중 가장 우수한 내화학성으로 다양한 화장품 제형의 용기로 사용되며, 반복적인 개폐에도 강한 힌지(hinge) 특성 덕분에 플립형 캡, 원터치 캡 등의 제작에 적합합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재활용성 증진을 위한 설계
  • PP는 유색이거나 불투명한 경우가 많지만, 단일 재질로 깨끗하게 분리배출되면 재활용이 가능합니다.하지만, 대부분의 PP 캡은 PE 재질의 내측 마개나 완충재와 혼합되어 있어, 소비자가 육안으로 단일 재질 여부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분리도 쉽지 않습니다. '포장재 재질·구조 및 재활용의 용이성 기준'에 따르면, 몸체가 PE 또는 PP 재질이면서 라벨, 마개 등에 몸체와 다른 올레핀 계열(PE, PP 등) 재질이 혼합된 경우, 특정 조건 하에 '재활용 보통' 또는 '우수' 등급을 받을 수 있지만, 이는 전체 중량 대비 다른 올레핀 계열이 사용된 경우에 해당합니다. (예: PP 몸체에 PE 마개가 전체 중량의 10% 이내인 경우). 따라서 PP는 무조건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오해를 피하고, 디자인 단계부터 단일 재질을 고려한 구조 설계가 필요합니다.
  • 뚜껑이나 펌프 등 부품이 혼합 재질인 경우, 내부 마개를 용기 몸체와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재질로 설계하거나, 소비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면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all pp

ALL PP 펌프 - 블루래빗 제공

  • 실무 설계 포인트 및 주의 사항
  • 펌프류 : 최근 친환경을 위해 펌프류를 All PP로 제작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며 PP가 가진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으로 펌프류에 가장 적합한 재질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펌프 구조에서 가장 핵심인 부분이 스프링인데, 스프링을 대체할 수 있는 정도로 탄성 복원력을 갖고 있는 재질입니다.
  • 내용물과 닿는 모든 재질은 PP : PP는 다른 재질에 비해 내화학성이 높아서 가장 안정적으로 내용물과 닿는 부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조가 단용기라면 대부분 PP이며, 이중 용기에서의 내용기도 대부분 PP입니다. 캡도 내용물과 닿는 부위라면 대부분 PP를 사용합니다.
  • 수축률 : 사출 이후 온도가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드는 것을 수축이라고 하며, PP는 수축률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내부 구조가 복잡할수록 외부에 나타나는 수축에 따른 굴곡이 많이 드러나게 됩니다. 주로 PP단캡을 보면 외측에 스크률 방향대로 굴곡이 발생한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 수축이 드러나는 면을 감추는 구조 설계가 필수입니다.
  • 코팅 제한 : PP는 연질이기도 하지만, 외부 표면에 약간의 유분기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코팅액이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프라이머 및 코팅액의 기술이 좋아져 대부분의 코팅은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여전히 증착 코팅은 쉽게 되지 않고 있어, PP 코팅비는 다른 일반적인 코팅 비용보다 비싼 편입니다.
  • 투명? 반투명? : PP는 기본 재질의 색상이 완전 투명이 아닌 유백색 투명입니다. 두꺼울수록 반투명으로 보이며 얇으면 투명으로 보입니다. 또한 색상 안료를 첨가한 경우, 사출물이 두껍게 제작되면 색상이 약간 탁해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 기체 투과성 : PP는 수증기 차단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산소와 같은 일반적인 기체에 대한 차단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특히 온도가 상승하면 고분자 사슬의 운동성이 증가하고 자유 부피가 커져 기체 투과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산소에 민감한 내용물에는 PP 대신 PET를 사용해야 합니다.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견고함과 내용물 보호 능력이 탁월한 화장품 용기

HDPE

HDPE 용기 예시 사진

  • HDPE / LDPE : PE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HDPE는 단단한 PE, LDPE는 연한 PE라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출 용기에서는 HDPE를 사용하며 튜브 용기에서는 LDPE를 사용합니다.
  • 활용
  • 주로 불투명하고 단단한 특성으로 대용량 바디로션, 클렌저, 샴푸 용기나 일부 캡 등에 적합합니다. 충격에 강하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수분 차단 능력도 뛰어나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합니다. 재질의 비용이 저렴하고 재질을 이용한 사출 비용도 저렴한 편이어서 큰 사출용기에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말통이라고 불리는 용기의 재질이 HDPE입니다.
  • 재활용성 증진을 위한 설계
  • HDPE는 주로 우유통처럼 불투명한 제품으로 재활용되므로, 산업용 대형 벌크통이나 기타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색상의 한계 없이 재활용이 가능하며 열가소성 수지로써 쉽게 펠렛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장품 용기 재활용이 가능한 대표 재질로 평가받습니다. 다만, 다른 재질과 마찬가지로 단일 재질이 아닐 경우, 재가공이 어렵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 실무 설계 포인트 및 주의 사항
  • 높은 강도 대비 밀도 비율: HDPE는 밀도 대비 강도가 매우 우수합니다. 즉, 가벼우면서도 튼튼하여 적은 양의 재료로도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습니다.
  • 우수한 내화학성: 다양한 산, 염기, 용매, 오일 등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화학물질 저장 용기나 파이프라인 등에 적합합니다.
  • 뛰어난 내충격성: 충격에 강하여 잘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습니다. 특히 PP에 비해 저온에서도 충격 강도를 잘 유지하는 편입니다.
  • 우수한 내습성 (낮은 수분 흡수율): 수분 흡수율이 매우 낮아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물성의 변화가 적고, 내용물을 습기로부터 잘 보호합니다.
  • 가공 용이성: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등 다양한 가공 방법으로 원하는 형태로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무독성 및 식품 안전성: 많은 등급의 HDPE가 식품 접촉 규정을 만족하여 식품 용기나 포장재로 널리 사용됩니다. PP와 함께 환경호르몬 배출 우려가 적은 비교적 안전한 플라스틱으로 알려져 있어서 내용기로도 사용되는 편입니다.
  • 높은 온도에 취약 : 다만, PP는 섭씨 100도까지 버티는 반면, HDPE는 섭씨 60도가 조금 넘으면 쉽게 약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다이렉트 브로우 : 이런 특징 때문에 HDPE는 주로 인젝션이 아닌 다이렉트 브로우 재질로 많이 사용됩니다. 쉽게 성형이 되고 적당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대용량 용기를 저렴하게 생산할 때 주로 사용되는 재질입니다.
  • 반투명 : HDPE는 기본적으로 PE의 반투명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PP보다 더 불투명한 반투명입니다. 따라서 HDPE는 얇게 만들어도 약간 반투명 할 수 있습니다.
  • 코팅제한 : PE재질은 PP보다 더 연한 재질이어서 코팅이 더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코팅을 진행하지 않으며, 무광 표면을 얻기 위해서 코팅보다 금형 부식을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기능성과 디자인 모두 잡고 싶다면?

ABS, PS, SAN

abs, ps, san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사출의 기본

  • 활용
  • ABS 수지는 뛰어난 물성과 가공성으로 인해 화장품 용기 제작에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닿지 않는 부위의 플라스틱은 ABS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출의 용이성, 예측가능한 수축률, 표면 가공 용이성, 결합구조의 용이성 등 다양한 장점이 많은 재질이기 때문입니다.
  • 우수한 외관 및 가공성 : ABS는 표면 광택이 우수하여 고급스러운 외관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코팅 없이도 매끄럽고 보기 좋은 표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매끄러운 표면 덕분에 후가공, 착색이 용이하여 다채로운 색상의 용기 제작이 가능합니다.


ABS 후가공

ABS 후가공 예시 사진

  • 실무 설계 포인트 및 주의 사항
  • 정밀 성형 :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 복잡하고 정교한 디자인의 용기 제작에 적합합니다. 여러가지 구조의 결합을 위해서는 언더컷 등의 결합 구조가 필요한데 다양한 재질과 결합할 때 적당한 강고의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주로 펌프 외체, 펌프 고정 장치, 쿠션 용기 등 전자 제품의 구조처럼 정밀함이 요구되는 부위에 많이 사용됩니다.
  • 후가공 범위 : 대부분의 후가공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유일한 재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다른 재질에서 하기 어려운 도금 처리도 가능하여 전자제품이나 자동차부품에서는 ABS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취약한 내화학성 : 알코올 (특히 고농도 에탄올), 에스테르, 케톤, 일부 방향족 탄화수소 등 특정 유기용매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팽윤, 용해, 균열(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코올 함량이 높은 토너, 향수 또는 특정 오일 성분이 다량 함유된 제품의 경우 사전 테스트를 통해 내용물과의 상용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자외선 노출 : ABS는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면 황변 현상이 나타나거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투명하거나 밝은 색상의 용기가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약간 누렇게 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 매장이나 창가 등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 되도록 후가공을 하거나 또는 UV 안정제를 첨가하거나, UV 차단 코팅 등의 후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재활용 어려움 : 재활용이 쉽지 않은 재질로 PP나 PET에 비해 재활용 인프라나 용이성은 떨어집니다. 특히 다른 재질과의 결합 구조에 많이 사용되는 재질로써 단일 재질로 분리수거되는게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재활용이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다만, 최근에는 PCR-ABS (Post-Consumer Recycled ABS)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정 브랜드에서는 ABS용기를 수거하여 재활용하려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화장품 용기 재활용은 어렵지만, ABS 활용도는 매우 넓고 여전히 중요합니다.



PS ( Polystyrene)

광택과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나, 재활용은 매우 어려움

PS 용기 사진

PS 용기 사진

  • 특징 및 활용
  • 파우더, 아이섀도우 등 일부 메이크업 콤팩트, 보호용 케이스, 샘플 용기 등에 사용되는 재질로써 두명하고 단단하며 디테일한 모양 구현과 우수한 광택이 장점이지만, 충격이나 화학물질에 약하고 긁힘이 잘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 낮은 내화학 및 내열성 : 열에 약하여 높은 온도에서 변형되기 쉬우며 (일반적으로 70~95°C 정도에서 변형 시작) 기름이나 특정 유기 용제(예: 아세톤, 벤젠 등)에 닿으면 녹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용물이 닿는 부위에는 PS를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 재활용성
  • PS는 재활용이 매우 어려운 재질 중 하나입니다. 특히 콤팩트의 거울, 금속 팬 등 다른 재질과 결합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그렇습니다. PS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다른 재질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계하거나, 브랜드 자체 수거 및 전문 재활용 시스템을 고려해야 합니다.
  • PS의 종류별 특징
  • GPPS (General Purpose Polystyrene, 일반용 폴리스티렌): 일반적으로 화장품에서 많이 사용되는 종류로 투명하고 단단하지만 깨지기 쉽습니다 (취성이 큼).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하기 쉬우며, 치수 안정성 또한 좋아서 두꺼운 용기(크림용기, 메이크업 콤팩트 용기 등)
  • HIPS (High Impact Polystyrene,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GPPS의 단점인 취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무 성분(보통 부타디엔)을 첨가하여 충격 강도를 높인 것입니다. GPPS보다 질기고 덜 깨지지만, 투명성은 떨어지고 불투명한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화장품 세트 패키지의 트레이, 요구르트 병이나 도시락 용기 같은 불투명한 식품 용기, 일회용 식기류, 장난감 등에 사용됩니다.


PS 재질 트레이 사진

PS 재질의 트레이 사진


  • EPS (Expanded Polystyrene, 발포 폴리스티렌): PS 수지에 발포제(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를 첨가하여 스펀지처럼 부풀린 형태입니다. 흔히 "스티로폼"이라고 불리는 것이 이것입니다.



SAN( Styrene Acrylonitrile )

두껍고 투명 하다면 무조건

san 용기

SAN 재질 용기 예시

  • 특징 및 활용
  • 스티렌(Styrene)과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만든 투명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입니다. AS 수지라고도 불립니다. 폴리스티렌(PS)의 장점인 투명성과 가공 용이성을 가지면서도, 아크릴로니트릴 성분 덕분에 PS의 단점인 낮은 내열성과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를 개선한 소재로 볼 수 있습니다.
  • 재활용성: PS처럼 재활용이 매우 어려운 재질 중 하나입니다. 다른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자연 분해되지 않으며 투명한 용기로써 다른 재질과 결합된 구조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 높은 투명도 : 유리처럼 맑고 투명하며 표면 광택이 좋습니다. 게다가 착색 또한 용이하여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합니다. 굴절률이나 반사광이 높아서 다양한 빛 효과를 주어 더 고급스럽게 보이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투명도를 내는 재질에 비해 가장 저렴한 편이어서 투명한 용기라면 대부분 SAN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후가공 : 특정 강산, 강알칼리, 케톤, 에스테르, 염소계 용제 등에는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신너가 많이 사용되는 후가공(코팅류)은 위험한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로 사출 그대로인 상태에 인쇄 정도만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화장품 용기 재활용을 위한 주요 용기의 재질에 대한 특징과 이슈사항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나머지 화장품 용기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과 종합 비교, 재활용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거 안 보면 손해예요 🤓

로그인하면 열리는 진짜 인사이트! 중요한 건 지금부터라구요 🔥

undefined_profile

솔로몬

20년간의 화장품 개발 경험을 나누고 싶습니다.

이 글도 좋아하실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