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의 화장품 연구원 도전기 1편 - 화장품 제형의 이해

신입 BM, 화장품 제형의 기초를 배우다..! 🔍

👩🏻‍💻 여러분 오랜만이에요! 화장품 BM 6개월 차, 김루키입니다 :)


지난 4월, 브래닛에서도 한 번 소개해 드렸던 서울시 뷰티 비즈니스 아카데미 기억하시나요?

최근 제가 이 수업을 직접 수료했답니다~!

주 2회 금, 토 5주간 진행되는 수업이었는데 회사에서 배려해 주셔서 감사히 다녀올 수 있었어요.

(저처럼 신입이라 배움에 진심인 분들, 공감하시죠? 🥹)


화장품 제형에 관한 기초 이론, 신입 BM으로서 도움이 됐던 포인트,

실습 현장에서 직접 느낀 생생한 후기를

총 5편에 걸쳐 ‘찐루키 시점’으로 공유해 보려고 해요! 🙋🏻‍♀️ 우리의 시간은 소중하니까요 👏



✍️ 어떤 내용을 배웠나요?

저는 입문자를 위한 제조 (일반과정) 을 수강했어요.

이론 수업과 실습수업이 함께 구성되어 있어서 화장품을 처음 배워보는 분들,

특히 브랜드 론칭 준비 중인 분들께 정말 추천드리고 싶어요!



👩‍🏫 수강생 비율은?

  • 취업 준비생 (화장품 업계 입문 희망자, 특히 화장품 연구원 ): 60%
  • 사업자/창업 준비자 (브랜드 운영 중이거나 론칭 준비 중): 30%
  • 직장인: 10%


아무래도 평일 수업이 섞여 있어서

저처럼 회사의 지원을 받거나 유연하게 일하는 분이 아니면 직장인은 참여가 어렵더라고요.



📍 수업은 어디서 진행됐나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더샵스타파크에 위치한 ‘엘리트 코스메틱 아카데미’에서 진행되었어요!

깔끔한 실습 공간, 넓은 강의실, 쇼핑몰 내 위치라 주변 식당가, 화장실 이용도 매우 편리!

단점이라면... 주차 지원은 없어서

자차 이용 시에는 근처 공영주차장 or 대중교통 이용이 필요합니다.



📸 수업 공간 사진도 공유드릴게요!


화장품 제형_수업공간


화장품 제형_수업공간


화장품제형_수업공간


🧑‍🔬 교수진은요?

수업은 기초 6일 / 색조 2일 / 향수 2일 총 10회 구성인데요,

모든 교수님이 LG생활건강 출신이셨어요!

이론만 전달하는 게 아니라, 실무에서 겪은 사례와 시장 트렌드를 함께 이야기해 주셔서

수업의 몰입감과 현장감이 훨씬 좋았답니다 :)



📝 앞으로 뭐가 올라오나요?

김루키가 직접 듣고 정리한

찐 후기 5편 시리즈가 업로드될 예정이에요


  1. 화장품 산업 및 화장품 제형의 이해 & 기초 실험 (미스트 실습)
  2. 유상/수상 화장품 제형 이해 & 에멀전 실습
  3. 색조 실습 (에어쿠션, 립틴트, 립스틱 )
  4. 기능성 화장품 (아이크림 ) 샴푸&린스 제조
  5. 향료 & 디퓨저 제조 실습


신입 BM 분, 뷰티 브랜드 예비 창업자, 화장품 업계(특히 화장품 연구원)로 취직을 원하는 분

혹은 “화장품을 더 잘 알고 싶은” 모든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화장품 제형 및 기초이론 시작해 볼게요! 🙋🏻‍♀️



1주차 수업 내용 _화장품 제형의 이해 


여러분, 화장품 = 감성 + 과학 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서울시 뷰티 비즈니스 아카데미 첫 수업은

바로 이 “감성”과 “과학”을 동시에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됐습니다!



화장품 산업, 지금 얼마나 핫한지 아세요?

  • 화장품 산업의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고, 2024년엔 수출 100억 달러 돌파라는 기록까지!
  • 진짜 글로벌 산업이 됐더라고요.
  • 화장품은 사용감, 사용 편리성, 기호성, 피부 안전성, 화장품 제형 안전성, 유용성 등 다양한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그 중 ‘편리성’을 개선한 제품이 특히 소비자에게 매력으로 다가간다고 해요.
  • 감성도 중요하지만.. 기존 제품 대비 편리성이 두드러진다면, 성공 확률이 높아지겠죠? 🤔



화장품 업계, 분야별로 이렇게 달라요!화장품 업계 표

책임 판매관리자의 자격 요건도 개정으로 이전보다 완화되었는데요,

학위, 실무 경력, 조제 관리사 자격 중 하나를 갖추면 된다고 합니다.




화장품, 대체 뭘까?

화장품 제형_ 피부와 화장품


사람의 피부는 수분, 세포 간지질, 천연보습인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화장품에 오일을 사용해서 유분을, 정제수 & 보습제를 사용해서 수분을 충족시켜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 주는 거죠.


물과 기름? 느낌 오시죠 🤔

화장품은 기본적으로 ‘잘 안 섞이는 성분’을 섞어 만든 불안정한 제품이에요.

정리하자면 서로 잘 섞이지 않는 성분을 용해시키거나 일시적으로 혼합 시킨것이 바로 화장품이고,

시간의 경과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내용물이 분리되거나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품질 관리를 통해서 화장품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안정한지를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품질 관리(QC= Quality Assurance)가 아주 중요하답니다.

QC팀은 원자재 입고 검사 및 적합여부 확인 및 관리, 반제품이나 완제품의시험 검사, 품질관리기준매뉴얼 등 문서 작성 등의 업무를 다뤄요.

제품 양산 전 마지막에 QC를 보잖아요!

이 품질관리를 통해서 제품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화장품 제형 테스트, 꼭 해야 하는 이유!

화장품에 들어가는 성분들 - 예를 들면 정제수, 보습제 같은 것들은 사실 미생물이 자라기 딱 좋은 환경이에요. 특히 크림 같은 제품은 손으로 떠서 쓰기도 하고, 뚜껑을 열면 공기랑 계속 맞닿아 있잖아요?

그러니까 더더욱 오염이나 변질 위험이 높은거죠.


그래서 대부분의 화장품에는 방부제가 일정량 들어가고,

실제로 제품이 안전하게 유지되는지 테스트를 꼭 거칩니다!화장품 제형 테스트_표




이 모든 품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진행하려면 바로 CGMP 인증을 받은 제조 환경이 필요해요!

얼마전 브래닛에서도 소개해드렸던,

cGMP = CGMP 인증인줄 알았다면 클릭하세요🫵🏻 콘텐츠 기억하시나요?

CGMP는 우수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을 말하는데요,

이걸 실제로 적용하고 관리하는 팀이 바로 QC팀이에요.


📌 원료 입고부터, 제품 최종 검사, 문서화까지 전부 QC의 손을 거쳐야

"이 제품, 고객한테 나가도 되겠다!"는 최종 판단이 나는 거랍니다 🙆🏻‍♀️



화장품 제형 종류, 이렇게 나뉩니다화장품 제형 종류_표



화장품은 크게 피부용, 모발 두피용, 구강용, 방향 화장품으로 나누고

이중 피부용은 다시

  1. 기초 제품 -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클렌징, 팩, 선크림
  2. 색조 제품 -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BB 크림, 립스틱, 아이섀도우
  3. 바디 케어 - 비누, 입욕제, 데오드란트 등 세 종류로 나뉩니다.



기초 제품, 왜 이렇게 많죠🤔화장품 기초 제품 _ 표




화장품, 제일 중요한 건 뭘까요?


피부와 유사한 성분을 채워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주는 것!

  • 수분 → 정제수 + 보습제
  • 유분 → 오일 + 유화제
  • 둘을 섞는 핵심 → 계면활성제 (친수성 + 친유성 구조로 혼합 안정화)



화장품 만들려면 이건 필수!화장품 제형_믹서


source : k-corp.co.kr, labup.co.kr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믹서’라는 장비가 꼭 필요해요.

원료들을 잘 섞고, 입자를 고르게 만들어주는 기계인데요 종류에 따라 역할이 조금씩 달라요!


-호모 믹서(Homo mixer) 가장 많이 쓰이는 장비로, 특히 유화 제품을 만들때 필수예요.

오일 입자를 아주 미세하고 균일하게 쪼개서 섞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로션이나 크림 같은 화장품 제형들이 여기에 해당돼요.

-디스퍼 믹서(Disperser Mixer)는 서로 잘 안섞이는 두 액체를 혼합할 때 쓰는 장비로, 점도가 낮은 스킨이나 미스트 같은 가용화 제품을 만들때 주로 사용돼요.


화장품 제형_ 로보믹서


저는 실습 때 로보 믹서라는 장비를 사용했는데요, 하나로 디스퍼 믹서와 호모 믹서를 모두 장착해서 쓸 수 있는 기기라고 해요.



실습 노트, 꿀팁 대방출!🍯


이론수업을 마친 후에는 직접 원료와 점증제를 섞어서 기본 미스트를 제조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 제품 : 미스트
  • 핵심원료 : 정제수, 보습제(글리세린 등), 에탄올, Em-16 , 항염제, 금속이온봉쇄제,
  • 배합 포인트
  • 에탄올상을 수상에 아주 천천히 투입하는게 포인트! 빨리 넣으면 혼합이 제대로 안되더라고요. 원하는 화장품 제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투입속도가 중요했어요!
  • 금속이온봉쇄제는 화장품 제조 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는 미량의 금속이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해요. 화장품 안정성 확보에 중요한 원료! 📌


📷실습 사진


화장품 제형_실습사진


화장품 제형_실습사진


화장품 제형_ 실습사진


화장품 제형_ 실습사진


화장품 제형_실습사진



💡 실무 인사이트

  • 원료 계량이 생각보다 매우 어렵다!
  • 0.06g, 0.15g.. 이런 수치를 맞추는 게 진짜 예민하고 신중한 작업이더라구요.
  • 상품 기획 시, 감각 + 안정도 둘 다 잡기가 힘들다는 걸 실감!
  • 향 조금만 넣어도 확 달라지고, 원료 비율 살짝만 틀어져도 점도나 분산이 달라져요.




이렇게 1주 차 수업은 마무리됐어요 🙋🏻‍♀️

화장품 하나 만들어지는 과정이 이렇게 섬세할 줄 저도 몰랐어요!

다음 수업에서는 유상/수상 화장품 제형의 이해와 로션·크림 실습 후기로 다시 올게요!


화장품의 기초를 탄탄히 다지고 싶은 분, 신입 BM이 되신 분,

화장품 연구원이나 화장품 관련 직무 취업을 준비 중인 예비 루키들까지—

이 시리즈, 절대 놓치지 마세요!

📌 저장하고, 다음 편도 함께해요! 💬✨

undefined_profile

김루키

입사 6개월 차 화장품 BM! 실무+기획+제조, 하나씩 부딪혀보는 중이에요 🙋🏻‍♀️

이 글도 좋아하실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