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기획, 감으로 하지 마세요 🙅‍♀️ - 화장품 BM의 리서치 루틴 엿보기

상품 기획이 막막할때 꺼내보는 BM 리서치 실무매뉴얼

화장품 상품 기획을 처음 맡았을 때

“요즘 뭐가 잘 팔리지?”

“이 성분 아직 쓸 수 있는 타이밍일까? 너무 늦었나? ”

화장품 BM이라면 한 번쯤 해봤을 고민이죠.


사실 트렌드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이미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하고 있어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실제 10년차 화장품 BM이

상품 기획 초기에 활용하는 ‘근거 있는 리서치 루틴’을 소개합니다.


신입 BM, 화장품 마케터라면 잘 따라오세요 📌



🔍 화장품 BM이 실제로 검색하는 리서치 루틴

1. ‘블랙키위’로 키워드 방향 잡기상품 기획_블랙키위


상품 기획의 시작은, “소비자가 실제로 어떤 단어를 쓰고 있는가”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요.


예를 들어, 비건 선케어 제품을 고민 중이라면 블랙키위에 ‘비건 선크림’을 입력해 보세요.

아래와 같이 연관 키워드와 검색량, 콘텐츠 수, 콘텐츠 포화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무기자차’, ‘무자극’, ‘무향’ 같은 키워드가 비건 선크림과 함께 등장하는 걸 알 수 있죠.

이를 통해 ‘비건’을 찾는 소비자가 성분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 이 단계의 핵심은?

단순히 검색량이 많은 키워드를 찾는 게 아니라,

고객 니즈는 뚜렷하지만 경쟁이 덜한 키워드를 찾는 것입니다.

이런 키워드를 기반으로 초기 기획 아이디어를 검토하거나, 기존 제품에 새로운 포인트를 붙이는 데 사용할 수 있어요.



💬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위 내용을 토대로 비건 선크림을 기획한다면

  • 제품명: 비건 무기자차 선크림
  • 카피: “민감한 피부도 안심, 무자극 선크림으로 지키는 여름”
  • 포인트: 무향, 자연 유래 성분, 저자극 인증


💡 실제 검색되는 키워드를 상품 기획 및 카피에 반영해야,
소비자가 “어? 이거 내가 찾던 조건인데!” 하고 빠르게 반응합니다.


📌 Tip. 리서치는 정기적으로 반복해 주세요.

트렌드는 매우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월 단위로 리서치 루틴을 반복하면 상품 기획 속도와 품질이 모두 올라갑니다!



2. 네이버 키워드 도구로 소비자 언어 캐치상품 기획_네이버 키워드


네이버 키워드 도구 단순한 검색량 확인을 넘어,

소비자가 실제로 어떤 조합으로 검색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소비자의 입에서 나오는 단어를 정확히 이해하면

제품명, 상세페이지, 마케팅 카피까지 설득력 있게 연결할 수 있어요.


만약, ‘히알루론산’ 키워드 입력 시 아래와 같은 연관어 나왔다고 가정해 볼까요?

  • 히알루론산 1000ppm
  • 히알루론산 고보습
  • 히알루론산 진정 앰플
  • 히알루론산 수분크림

이러한 키워드는 모두 실제 소비자가 네이버에 검색한 조합입니다.


즉, 브랜드가 강조하고 싶은 효능보다,

소비자가 기대하거나 궁금해하는 기능이라는 점이 중요한거죠.


❌ ‘히알루론산 세럼’이라는 네이밍만으로는 소비자에게 특별하게 다가가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자주 검색하는 단어가 ‘1000ppm’, ‘고보습’, ‘진정앰플’이라면?


⭕ 제품명을 ‘히알루론산 1000ppm 진정앰플’ 또는 ‘고보습 세럼’ 콘셉트로

명확하게 포지셔닝 할 수 있게 됩니다.


💬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네이버_예시

💡 반복 사용이 핵심!
검색 키워드는 상품 기획뿐 아니라 상품명, 상세페이지, 마케팅, 콘텐츠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유입으로 이어집니다.



3. 핀터레스트에서

감도 높은 무드 보드를 만들어 보세요.

무드보드_예시

Pinterest는 ‘이미지 중심’의 검색 엔진입니다.

뷰티 산업처럼 감각적이고 시각 중심의 상품기획이 중요한 영역에서는,

텍스트보다 훨씬 강력한 인사이트를 줍니다.


📸 특히 제형, 컬러, 스타일링 등 비주얼 요소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적합하며,

SNS 콘텐츠 방향까지 함께 고민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검색 TIP. 감성 키워드를 더해보세요.

단순히 "moisturizing cream”으로 검색하는 것보다 제형 + 감성 키워드를 조합해 보세요.키워드 예시


이렇게 두 가지 키워드 조합으로 검색하면,

텍스처 강조나 연출감이 살아있는 이미지를 훨씬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클릭하면, Pinterest가 자동으로 비슷한 톤의 이미지를 추천해 줍니다.

✔️ 텍스처 연출법

✔️배경 스타일링

✔️ 포토그래피 무드 등을 참고하면서

요즘 감도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요.


💬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 수집한 이미지를 하나의 무드 보드로 정리하세요.

✔️ 제품 기획 회의, 컨셉 공유, 상세페이지 디렉션 등에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SNS에서 통하는 ‘감성적인 제형 연출’을 기획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감각적인 이미지에서 출발한 제품은,

SNS에서 더 강한 반응을 이끌어 낸다는 거 잊지 마세요.



4. 해외 트렌드는 반드시 영문 검색으로 확인하세요.

상품 기획_예시

글로벌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하고 싶다면,

Google / Reddit / TikTo에서 영어로 검색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해외 커뮤니티는 마케팅으로 가공되지 않은

현장감 있는 소비자 중심의 트렌드가 먼저 떠오르기 때문에

상품 기획 단계에서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 TikTok에서 “2025 skincare trends”
  • Google에서 “k-beauty cures acne”,
  • Reddit에서 “retinol stick review”

같은 키워드를 검색해 보면

미국 등 글로벌에서 유행 조짐이 보이는 아이템을 빠르게 캐치할 수 있어요.


만약 미국에서 ‘retinol stick’이 주목받고 있다면?

국내시장에서 희소성 있는 ‘스틱형 레티놀 앰플’ 상품 기획으로 선점해 보는 거죠.


📌 검색 TIP

단순한 제품명보다는 사용자 고민 중심 키워드가 효과적입니다!

“skin barrier routine”, “k-beauty for sensitive skin”

레딧/틱톡은 실제 사용 후기 기반의 리얼한 소비자 언어가 올라옵니다.

“skincare routine for oily skin" 등을 검색하면 실사용 영상에서 이 제품을 선택한 기준, 제형 설명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요.


영상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비자 표현은

그대로 제품 상세페이지 문구나 SNS 콘텐츠 카피로도 활용할 수 있어요.



💬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검색 팁


5. 리뷰 속 Pain Point에서 기획 포인트를 찾으세요.

리뷰_예시

올리브영, 무신사, 쿠팡 등 주요 온라인몰의 리뷰는 단순한 구매 후기가 아닙니다.

실제 소비자의 경험과 감정이 담긴 살아있는 데이터이며,

상품기획자 입장에서는 제품의 개선 포인트와 확장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일종의 ‘소비자 CCTV’ 라 할 수 있어요.


리뷰 속에서 개선/ 기획 단서를 발견해 보세요.


예를 들어, 특정 제품 리뷰에

“끈적임이 없어서 좋아요”, “향이 너무 강한 게 아쉬워요” 같은 문장이 반복된다면?

'끈적임 없음'은 차별화 포인트로 강조할 수 있고

‘향’에 대한 아쉬움은 무향 버전, 혹은 천연 향료 변경, 향 라인 분리 등 상품기획 포인트로 연결할 수 있죠.


📌 TIP

리뷰는 ‘좋아요’보다 ‘아쉬워요’에 주목해야 합니다. 불만 키워드야말로 진짜 기획의 단서!

리뷰 필터링 기능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

#발림성, #보습력 #트러블 등 키워드별로 분류해서 소비자 반응을 정리해두면, 다음 제품 개발 시 훌륭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 실무에서 더 많이 쓰는 팁 하나 더!
틱톡·인스타그램 공구 게시글 댓글은 리뷰보다 더 솔직하고 직관적인 소비자 반응이 담겨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구나 리그램 게시물의 댓글을 보면,
“튜브 입구가 너무 작아서 짜기 불편해요”
“색은 예쁜데 지속력이 아쉽네요”
이런 반응은 숫자보다 강한, ‘체감형 Pain Point’를 드러내줍니다.


💬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리뷰_예시

BM은 숫자보다 ‘말’에 더 집중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소비자의 언어는 제품의 방향성을 정확히 알려주는 나침반이니까요.



🛠️ 실무에선 이렇게 연결해 보세요

✅ 소비자 관심 키워드 정리

블랙 키위, 네이버 키워드 도구 등을 활용해 검색량, 연관어 확인

단순히 숫자만 보지 말고, 키워드에 담긴 소비자의 ‘의도’까지 읽기

🐰“무향 수분크림”이라는 키워드는 단순한 취향이 아니라
‘자극 없이 순한 제품을 찾는’ 소비자 니즈일 수 있어요.


✅ 비주얼 무드 구성

핀터레스트 + 경쟁 브랜드 인스타 참고하여

무드 보드로 형태로 정리하고, 내부 기획 공유시 활용


✅ 해외 트렌드 리서치

구글 시크릿 모드 또는 VPN을 활용하면, 국내 검색 알고리즘을 배제하고

글로벌 사용자 관점의 트렌드를 더 정확히 체크 가능


✅ 소비자 피드백 정리

온라인몰 리뷰 & SNS 댓글 수집

‘발림성’, ‘향’, ‘보습력’ 등 카테고리별로 분류해 반복되는 긍정/부정 포인트 체크


👉 리서치 루틴을 템플릿으로 만들어두고, 월별로 정리해 나가면

트렌드 변화뿐 아니라 소비자의 감정선 변화까지 연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리서치 기반으로 상품기획을 한다면

직감 중심의 기획안이 아닌, 근거 있는 기획안으로 바뀌기 시작할 거예요.


핵심은 ‘소비자 중심 사고’입니다

상품기획을 “우리가 무엇을 보여줄까?”에서 출발했다면,

이제는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말할까?”로 전환해 보세요.


내가 쓰고 싶은 문구보다, 소비자가 검색하는 단어

내가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보다, 소비자가 공감할 무드

내가 기획하고 싶은 콘셉트보다, 소비자가 느낀 불편함


이런 사고 전환이, 상품 기획을 잘하는 BM의 첫걸음이 됩니다.


📌 오늘부터 시작해 보세요

상품 기획은 ‘감’이 아니라, 소비자의 언어와 행동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이거 안 보면 손해예요 🤓

로그인하면 열리는 진짜 인사이트! 중요한 건 지금부터라구요 🔥

undefined_profile

이팀장

브랜드 론칭도, ODM 개발도 수십 개 해본 실전형 상품기획 10년 차.